logo


모든 무용실공사에 탄쯔맥


믿을 수 있는 사람과 기업을 중심으로 합니다.
무용실공사를 선도하는 DANCE PLACE DESIGN EXPERTS NETWORK, 탄쯔맥
탄쯔맥 무용실 공사 특징

  • 전문인 감독 : 무용전공 목공기능사의 감독하에 전체 무용실공사 진행
  • AS : 공사 하자시 1년 이내 무상 AS
  • 명패 : 시공 완료 후 AS기간이 명시된 탄쯔맥 시공 인증 명패 증정
  • 발레바 할인 혜택 : 탄쯔발레바를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혜택 부여
  • 청소 : 지속적인 현장 관리와 청소
  • 작업자 관리 : 작업자가 흡연구역 확인 후 흡연토록 관리
나를 보는 거울, 몸을 돕는 마루, 내 몸을 느끼는 바, 이게 바로 무용실!

무용실은 예술에 헌신하며 스스로를 강화하는 장소입니다. 이는 마치 예배하는 장소와도 같습니다. 무용실은 미래의 공연을 준비하는 장소입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공연장과 유사한 형태로 짓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탄쯔맥은 무용시설전문가, 디자인전문가, 건축 인테리어전문가가 함께 협력하여 차별화된 무용실공사를 시행합니다.
무용실공사의 세 가지 스타일

무용실공사는 대체로 다음 세 가지 스타일로 구분됩니다.

  1. 클래식 - 14세기 발레의 고향 프랑스에서 시작된 고딕 건축 양식을 흉내낸 클래식한 분위기의 연습실. 주로 발레 중심의 연습실에 사용되는 추세입니다.
  2. 모던 - 1960년대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모던한 분위기의 연습실. 주로 현대무용 전공자들이 선호합니다.
  3. 프리 - 클래식과 모던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형태
실속있는 공간 사용 - 일본 무용실 (동경 Kanamecho sta. F08)

(주)탄쯔 협력업체가 소유한 일본 소규모 무용 연습실을 소개합니다. 20평 정도의 작은 공간을 짜임새 있게 구성한 것이 특징입니다.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일본스러운 무용실이라고 판단됩니다. 혹시 작은 공간을 활용하여야 하는 경우라면 참고하세요. ( 2018년 10월 방문 당시 찍은 사진 자료입니다.)

무용실 공사 현장의 구분

무용실 공사는 개인연습실, 무용학원, 학교, 단체 등에서 하는 공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010년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무용실기실 설계 당시 공연장과 유사한 구조를 설계에 반영하고자 하는 계획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공연예술인 무용실기교육을 가르치는 무용연습실이 공연장과 비슷할수록 바람직하다는 교육적 판단의 결과입니다. 무용학원, 개인연습실 등은 힉교, 단체와 달리 자유롭고 다양한 형태로 설계가 가능합니다. 탄쯔맥은 무용 시설의 특수성을 잘 이해하는 무용전공 프로젝트 매니저 무용시설위원회 가 중심이 되어 시공업무를 진행합니다.
Card image
개인연습 : 개인이 필요한 연습 공간을 임의의 장소에 만드는 경우
살고 있는 아파트를 개조, 지하실 공간을 개조, 방 하나를 개조, 별도의 건물 공간을 임대하여 시공하는 등 다양한 사례가 있습니다. 위 사진은 일반 아파트 방 하나를 연습실로 만든 경우입니다. 충격흡수구조, 매트, 이동식 발레바, 발레사다리, 거울 등을 설치하여 다섯 평 정도의 공간을 연습공간으로 개조하였습니다. 발레 전공을 희망하는 초등학교 쌍동이 자녀의 부모님이 집에서 개인레슨 혹은 연습를 할 수 있도록 한 사례입니다.
Card image
무용학원-학원법 시행령의 규정을 적용해 만들어야 하는 무용교육 공간
무용학원은 교육청의 인가를 받아야 허가가 나기 때문에 시설하고자 하는 공간이 관련 규정에 적합한지 잘 확인하여야 합니다. 교육 상업공간인 만큼 사용자 요구에 부응하는 시설이어야 합니다. 무용학원을 설립할 때 일반인 수업 중심 학원으로 할 것인지 혹은 무용전공자 중심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시설과 운영에 차이가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학원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인 만큼 설립 전에 반드시 결정하여 이를 공사형태에도 반영하여야 할 중요한 사항에 해당합니다.
일반인 수업 중심 무용학원 - 최근 무용을 전공하지 않더라도 무용을 통해 건강하고 예쁜 몸매를 만드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례:탄츠플레이
무용전공자 중심 무용학원 - 무용을 전공하고자 하는 경우 학생 부모님 모두 원장님의 경력과 교실의 분위기를 중요하게 생각하게 됩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려면 무용실의 환경, 그리고 현재 수업중인 강사의 경력, 수강 중인 학생들 모두가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전체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겠습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 무용실의 물리적 조건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부상을 당하지 않는 마루시설이나 수업 환경에 적합한 발레바 등에 신경 쓸 필요가 있습니다.
혼합형(일반인 수업과 무용전공자 수업을 겸하는 경우) 무용학원 - 사례:탄쯔스테이션
Card image
학교
구형마루의 문제점
학교 무용실공사는 한 번 시공하면 10년 정도를 사용하게 되므로 내구성과 트렌드를 감안하여야 합니다. 대체로 오랜 기간을 두고 협의하여 시공하게 됩니다. 특히 무용실기실에 중점을 둔 공사를 하게 됩니다. 오래 된 무용연습실의 바닥은 탄성마루시스템이 잘못된 사례가 많이 발견됩니다. 행정절차의 문제점
무용인의 입장에서 시공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행정이나 관리에 의해 무용인의 필요가 충분하게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점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주 사용자인 무용수들의 연습에 적합한 시설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ard image
단체
무용단체는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공적 단체일 경우 정부의 지원금으로 만들어져 장기간 유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애초에 무용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이 보다 더 중요합니다. 무용시설을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라 시설되어야 비용과 시간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인 시공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무용센터 공간 구분

무용센터는 실기실, 탈의실, 사무실, 대기실 등의 공간으로 구분됩니다. Teaching Classical Ballet의 저자 Jhon White 교수는 Dance Studio를 Office, Waiting Area, Lounge, Dressing Rooms, Classrooms, Decor GuideLines 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면 Office와 Waiting Area는 사무실에, Waiting Area와 Lounge는 대기실에, Dressing Rooms는 탈의실, Classrooms는 실기실에 대응합니다.

위에서 사용된 사진은 1996년에 시공된 무용학원의 실제 사례입니다. 당시 부천대학교 건축학과 교수가 디자인과 설계를 담당하였습니다. 시설 의뢰자인 무용학원원장의 의도를 최대한 반영하여 연습실, 사무실, 탈의실, 대기공간 등이 만들어졌습니다. 연습실은 당시 마루시공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어서 임의로 10미리 두께의 탄성 고무를 장선목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붙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당시엔 무용매트에 대한 개념 역시 없었으므로 원목 마루를 사용하였습니다. 원목 마루는 아비동이라고 하는 긴 쪽마루를 대각선 방향으로 깔아 공간이 길어보이는 효과가 나도록 하였습니다. 각 실별 출입문은 기성문을 사용하지 않고 평문에 빗살 모양으로 MDF를 잘라 붘여 흰색으로 칠하고 각 문에는 무뉘목을 덧붙였습니다. 당시 이러한 디자인의 문은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재의 사용과 시공이 남다르다는 인상을 주었습니다. 아미 이것이 디자인이 가진 힘이라는 느낌을 처음 알게 된 순간이었습니다. 사무실, 대기실, 탈의실 바닥은 따뜻한 원목 재질의 느낌이 나는 데코타일을 사용하였습니다. 각 공간은 천정 쪽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공간이 밀폐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음악소리와 소음이 전체 공간에서 듣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그런 문제는 심각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각 공간이 분리되는 벽의 위쪽에는 윙을 설치하여 좀 더 성의있는 공간들이 탄생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무뉘목을 사용하여 통일감을 주었습니다.
당시 무용학원을 이런 방식으로 디자인한 사례가 드물었기 때문에 사용자인 학생들과 부모로부터 멋진 학원이다라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배우는 학생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수업에 임할 수 있었고 강사 원장 모두 공간에 대한 자부심이 교육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